
정부와 민간이 자동차부품산업에 14조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한다. 미래차 핵심기술 관련 전문인력 양성과 자동차부품 수출 확대, 글로벌 공급망 진입에도 힘쓴다.
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시 중로구 소재 포시즌스 호텔에서 '자동차부품 산업전략 원탁회의'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'미래차전환 및 수출지원대책'을 발표했다.
산업부는 이날 부품업계 지원대책으로 ▲14조3천억원의 자금지원 및 일감확보 ▲핵심기술 확보와 전문인력 양성 및 미래차부품 특별법 제정 ▲자동차부품 수출확대 등 3대 핵심과제를 제시했다.
자금지원과 일감확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국내 전기차 생산 규모를 5배 확대하는 한편 미국과 유럽연합(EU) 등 2대 주력 시장과 중동, 중국·일본, 아세안 등 3대 유망시장에 대한 자동차부품 수출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.
산업부는 이를 통해 올해 자동차산업 수출액이 사상 최고치인 800억달러를 넘을 것으로 기대했다. 나아가 시스템반도체, 대형디스플레이, 탄소복합재, 바이오헬스, 소프트웨어(SW) 등 기타 첨단산업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전망했다.
이 같은 정부 지원대책은 지난 3월 월간 국내 자동차생산이 6년 만에 40만대를 돌파하고, 올해 1∼4월까지 완성차와 부품을 포함한 수출액이 역대 최고인 309억달러를 달성하는 등 자동차산업 업황이 호조세를 보인 가운데 나왔다.
산업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전동화, 지능화, 자율주행 등으로 대표되는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모빌리티 혁명의 출발점이라 할 자동차부품업계의 대응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.
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"올해 4월까지 자동차수출이 사상 최대를 기록하는 등 올해 자동차·부품수출은 사상 최초 800억달러 달성이 가능할 수도 있다"며 "민관이 합심해 수출 호조세를 이어가고, 미래 모빌리티 시대 준비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"고 말했다.